소외계층을 찾아가는 문화예술 프로그램
주5일 근무제 시행이 확산되고 여가 활용에 대한 사람들의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습니다. 하지만 인적, 물적 문화인프라가 비교적 잘 갖춰져 있는 도심과 달리 농어촌이나 공단지역, 경제적 여유가 없는 사람들은 멀리서 바라보기만 할 뿐이었죠.
복권위원회는 소외계층 지원이라는 복권기금의 취지에 맞게 더 많은 사람들이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즐기고 보다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
문화예술 진흥 및 문화유산 보전 사업을 지원합니다. 노인, 장애인, 저소득가정, 이주노동자 등 소외계층을 찾아가 문학, 국악, 뮤지컬, 무용등 다양한 공연 및 전시 행사를 진행합니다.
공연 관람비용을 지원하거나, 전국 사립박물관, 미술관, 지방 문예회관 시설에 질 높은 프로그램을 지원해 가까운 곳에서 공연관람의 기회를
넓히고 문화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 2011년도에는 복권기금의 480억 원을 지원할 예정입니다.
문화예술사업 사례

- 지원대상 :
- 노인,장애인,한부모가정 등 저소득층
- 지원규모 :
- 연간10만명,1인당 연간5만 원이내
문화소외계층 공연 전시 나눔
몸이 불편한 외할머니와 단둘이 사는 민지(가명, 초등4 년)는 소녀가장입니다.
학원에 나가는 친구들과 달리 별다른 놀거리도 없고 무료했는데 얼마 전 동사무소에서 반가운 소식을 들었습니다. 소년소녀가장들에게 영화, 공연이나 전시회를 무료로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고 합니다.
이젠 친구들처럼 영화나 발레공연도 볼 수 있단 생각에 요즘 민지 얼굴에 웃음이 떠날 줄 모릅니다. 민지의 얼굴을 환하게 해 준 건 바로 문화 바우처라는 제도 덕분입니다.
노인, 장애인, 한부모가정 등 저소득층(기초 생활수급자, 차상위 의료급여대상자)에게 공연이나 전시 관람비(1인당 연간 5만원 이내)를 지원하는 문화바우처는
전액 복권기금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. 관람료 뿐 아니라 차량이나 식사도
제공하며, 2009년도에는 29만여 명이 문화 바우처를 통해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의 혜택을 받았습니다.
이젠 친구들처럼 영화나 발레공연도 볼 수 있단 생각에 요즘 민지 얼굴에 웃음이 떠날 줄 모릅니다. 민지의 얼굴을 환하게 해 준 건 바로 문화 바우처라는 제도 덕분입니다.
국민의 문화 향유권 확대를 위해 문화 소외대상인 저소득층에게 공연과 전시 관람료를 지원하는 사랑티켓 제도도 있습니다. 사랑회원(3~26세 아동과 청소년, 65세 이상 노인, 읍·면 거주자)에겐 개인 7천 원(연 10회), 단체 5천 원(연 3회),
나눔회원(노인, 장애우, 실직자, 새터민, 해외이주민, 외국인 근로자)에게는 전액 지원합니다.